728x90

  지난번에 얘기했듯이 매번 자산 계산할 때 주식/ETF 현재가 수기로 입력해서 계산하는 건 상당히 번거로운 일입니다. 때문에 공공데이터 포털을 이용할 수 있지 않을지 생각했었는데..., 계속 바빠서 오늘에야 자세히 살펴볼볼 수 있었습니다. 그런데...아쉽게도 현재가 조회는 불가능하더군요.

 

  오늘 장이 종료되었음에도 오늘 데이터는 조회되지 않고, 가장 빠른 게 어제 데이터 조회였습니다.

 

  어쩔 수 없이 증권사 Open API 연계를 해야겠다고 마음 먹었습니다.

  먼저 키움증권을 조사해봤는데, 제공되는 모듈을 OCX컨트롤 기반으로 개발해야 한다고 되어있더군요. Open API와 네트워크 통신하는 건 불가능한 듯 싶었습니다.(통신 모듈 자제가 키움 Open API 자체에 포함되어 있는 듯했습니다.)

  *참고: "키움 Open API+"

 

  웹어플리케이션으로 개발이 어려울 것 같다는 생각이 들어서 잠시 보류해두고 한국투자증권 쪽을 조사해봤습니다.

  일단 제공되는 API 문서로 봐서는 네트워크 통신을 지원하는 것으로 보아 웹어플리케이션과 연계 개발하는 데는 어렵지 않을 듯합니다.

  *참고: "API 문서"

  

반응형
728x90

  탄수화물, 그 중 특히 당질의 과다섭취가 지방으로 전환되기도 하고, 과도한 열량으로 인해 당뇨 등의 합병증 위험도 있습니다. 그래서 최근 탄수화물, 그 중 당질의 섭취를 줄이려고 여러모로 식사 조절을 했는데...

 

  사람이 너무 무기력해져서 안 될 것 같습니다.

  너무 기운이 없고, 아무것도 하기가 싫어지네요. 심지어 운동할 때도 기운이 없어서 몸이 잘 안 움직이는 느낌입니다.

 

  이대로는 안되겠다는 생각이 들어서 탄수화물(당질) 섭취를 다시 늘리면서 좀 생각을 해봤습니다.

  당뇨나 심혈관 등의 문제를 일으키는 건 고열량 문제도 있지만, 너무나 빠르게 혈당이 올라가는 게 문제입니다. 라면, 빵, 떡 등의 가루로 만들어 지나치게 섭취가 빠른 식사만 제한하고, 잡곡밥 등 열량은 충분하지만 흡수가 느린 식품은 평소대로 적당량 섭취한다면 활동하는데 필요한 에너지도 충족되고 당뇨, 심혈관 걱정도 해결되는 게 아닐까? 라는 생각이 번쩍 들더군요.

 

  게다가 예전에 봤던 비빔면을 채소와 함께 무쳐먹으면 혈당 상승을 조금이나마 낮출 수 있는 걸 생각하면, 가끔 먹고 싶을 때 가공식품을 먹되, 채소와 함께 먹어서 어느 정도 건강도 지킬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출처: "쌩 비빔면 vs 채소 비빔면 혈당차이"

 

  지방을 줄여 살을 빼는 건 좀 잠시 미뤄두고, 하루 적정량의 탄수화물(당질)은 섭취하되, 혈당이 천천히 오르는 식사 위주로 하여 시험해봐야겠습니다.

 

  살 빼는 것도 좋지만, 기운 없어서 운동도 못 하고 무기력해진다면 본말전도니까요.

반응형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항암을 위한 면역력 강화 계획  (1) 2023.11.14
방울토마토 다이어트  (0) 2022.06.03
오이 다이어트  (0) 2022.05.24
허리 마사지  (0) 2022.05.12
다크초콜릿 다이어트  (0) 2022.05.11
728x90

  그냥 잡담입니다.

 

  요즘 자산 배분 때문에 주식이나 ETF 현재가를 입력해야 하는데, 계산이야 엑셀이 해주지만 매번 직접 확인해서 직접 엑셀에 입력하는 게 너무 귀찮더라구요.

  그래서 주가 정보 같은 게 공공데이터포털에 있지 않을까 찾아봤습니다.

 

  그 중에 이런 게 있더라구요.

 

  “금융위원회_증권상품시세정보” : {ETF, ETN, ELW} 시세. 주식은 포함 안 됨.

 

  아쉽게도 주식은 따로 찾아봐야 할 듯합니다.

  스웨거로 구현되어 있는 것 같아서 테스트를 해보려고 했는데 키가 필수였습니다. 그래서 로그인해보려고 하니 카카오로도 로그인이 되네요? 와 언제부터 가능해진 거지? 정말 세상의 변화가 느껴지네요.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