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참고: 아래 내용들은 한국투자증권 기준입니다. 다른 증권사는 다를 수 있습니다.

RP는 일반적으로 은행예금보다 리스크가 높으므로 이자도 은행예금보다 높은 편입니다. 하지만 국공채 투자이므로 손실이 발생하는 경우는 거의 없다고 합니다.

다만, IMF 수준의 큰 경제위기 시에는 손실이 발생할 수 있다고 합니다. 어디까지나 원리금보장형 상품이지, 원리금보장 상품은 아니라는 것은 유념해야 합니다.(끝에 한 글자 차이로 차이가 생깁니다.)

이자가 일반 은행보다 높은 편이긴 한데, 어떤 것들은 차이가 없는 것도 있으므로 매수 전 약정 이자를 확인할 필요는 있습니다.

독특하게 기간이 한 달 단위가 아니라서 매우 짧은 기간인 상품들도 있습니다.

한투에서 RP상품들 살펴보던 중 '(크레딧기간)'이라는 게 있는데, 다른 RP보다 약간 이자가 더 높았습니다. 찾아보니 "크레딧물(회사채)"라고 하는군요.

*출처 : "[29th SRE][Cover]①크레딧물 전성시대"

회사채이므로 국공채보다는 아무래도 약간 리스크가 더 크겠죠.

비상금은 일반 예금으로 넣고, 현금성 자산 중에 손실을 어느 정도 감수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만 RP를 매수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주식투자를 장기투자로 진행한다면, 애매하게 남는 금액이 생기기 마련입니다. 남는 금액으로 RP를 매수하는 정도라면 손실이 발생하더라도 큰 부담은 없을 듯합니다.

반응형
728x90

궁금했던 '지난 번 배당주 전략'을 5월 매수 10월 매도로 바꿔서 백테스트를 진행했습니다.
(수수료를 현실적인 0.25%로 변경하고, 소액투자도로 수익을 낼 수 있을지 궁금해서 투자원금을 1천만원으로 줄였습니다.)

백테스트 결과

수익률은 거의 차이가 없지만 MDD가 20% 미만으로 줄어들었습니다.

백테스트 조건

설정조건은 지난 번과 동일하고 매수/매도 월만 다릅니다.

후기

손해가 발생했던 것은 2008년 세계 금융 위기와 2019년 코로나가 맹위를 떨치던 시기입니다.
이 때는 어떤 전략이든 박살나는 시기이니 어쩔 수 없지만, 그럼에도 20% 미만 손실로 끝낼 수 있었습니다.

날짜만 바꿨는데 지난 번 전략보다 MDD가 낮아진 건 5월이면 작년 말 데이터가 거의 다 나와서 그 데이터를 기반으로 배당 좋은 종목을 고를 수 있기 때문일 듯합니다. 연말에 배당주를 사는 사람이 많아지기도 하고, 그 사람들도 그 데이터를 토대로 사게 되겠죠.(반대로 10월 매수 5월 매도면 좋은 배당주 정보가 이미 바뀌어있을 경우가 많아서 미리 사 둔 배당주의 매력이 떨어지게 되었기 때문일 듯합니다.)
이 전략의 유일한 단점이라면 배당수익금을 사실상 포기해야 한다는 점이겠네요.

하여튼 주식시장이 내림세라는 5월~10월에 수익을 낼 만한 전략을 찾고 있었는데, 마침 잘 찾은 것 같습니다.

반응형
728x90

안전한 배당주 전략이 주가에서도 수익이 날 지 궁금해져서 한 번 백테스트를 돌려봤습니다.

백테스트 결과

2007년부터 시작해서 2022년까지 15년이 지나자, 5천만원으로 시작한 투자가 1억6천만원 가량이 되었습니다.

제법 안전한 배당주 투자만으로도 준수한 수익이 났습니다.

다만 MDD가 42%나 나온 건 뼈아픕니다. 경제위기 때는 배당주도 장사 없네요. MDD를 더 줄일 수 있다면 좋을 텐데요.

백테스트 조건

조건은 그 동안 공부한 걸 조합한 방법입니다.

  • A: 적어도 현재 은행금리보다는 높은 배당수익률인 것만 필터링했습니다.
  • B: 배당주를 원하므로 적어도 배당성향이 30% 이상인 것으로 필터링했습니다.(미국은 배당성향 평균이 40% 정도라고 하지만, 우리나라는 아직 그 정도 수준은 아니기에...)
  • C: 단발성 배당이 아닌 지속적인 배당주를 원하므로, 3년간 유지 또는 증가하는 종목만 필터링했습니다.
  • D: 배당주 중에는 적자인데도 배당이 나오는 종목도 있습니다. 배당이 증가하려면 재무 건전성도 필요하므로 영업이익이 적어도 적자가 아닌 종목으로 필터링했습니다.
  • 배당수익률이 좋은 순서대로 정렬합니다.
  • 매수/매도 조건은 10월에 사서 5월에 파는 것입니다.(주가가 내려가는 기간인 5~10월을 피하기 위해서입니다. 항상 그런 건 아니지만, 대체적으로 그런 현상이 있다고 합니다.)

후기

다만 이 백테스트의 수익 합이 배당주를 매매해서 난 수익만인 것인지, 배당금 수익까지 포함된 것인지 모르겠습니다. 만약 배당수익 포함되지 않았다면, 실제 수익은 좀 더 커질 것 같네요.

또한 5월에 매도하고 10월에 매수하므로 중간의 빈 기간 동안 다른 투자로 약간 수익을 늘릴 수도 있습니다. 하다못해 은행예금이라도 넣어서 약간이라도 불릴 수 있겠죠.

게다가 이건 처음 시작 자본금 5천만원으로 시작해서 그 돈으로 불린 수익으로만 투자를 하지만, 실제로는 월급 중 일부를 지속적으로 투자할 수 있기 때문에 최종수익은 좀 더 커질 수도 있을 것 같네요.

이 백테스트를 해보고 나니, 주가가 하락하는 기간이라는 5~10월에 이 전략을 사용하면 어떻게 될지 궁금해지네요. 다음에는 매수/매도를 5~10월에 하는 조건으로 테스트를 한 번 해봐야겠습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