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개요

웹페이지에서 업로드 가능한 파일 유형을 제한해야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이미지 파일만 업로드 가능하다던가, pdf 파일만 업로드 가능한 경우 등등.)

javascript를 통해 선택된 파일을 직접 검증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accept 속성을 이용하여 애초에 선택 가능한 유형을 허용하는 파일로만 제한할 수도 있습니다.

예제코드

<input type="file" />에서 허용 파일 제한 accept 속성을 추가하기만 하면 됩니다. 아래에서는 pdf 파일만 허용하도록 설정했습니다.

<form id="fileupload" method="POST" enctype="multipart/form-data">
	<table>
		<tr>
			<th>요청서 업로드</th>
			<td colspan="3"><input type="file" accept=".pdf,application/pdf" /></td>
		</tr>
	</table>
</form>

위에서 pdf 파일만 허용하도록 설정했기 때문에, pdf 파일만 목록에 나타납니다.

accept가 없으면 모든 파일이 나타납니다.

해설

accept에는 파일확장자와 MIME 유형 문자열을 입력하여 허용할 파일을 지정할 수 있습니다. 각각은 콤마(,)로 구분합니다.

(하단 [참고자료] 항목 참고.)

주의점

불행히도 파일 선택창의 드롭다운리스트에서 ‘모든 파일 (*.*)’을 선택하면 다른 파일도 선택 가능합니다. 때문에 자바스크립트로 추가 검증이 필요합니다.

(하단 [참고자료] 항목 참고.)

참고자료

 

-끝-

반응형
728x90

개요

  장례식을 치르는 동안, 장례지도사가 장례식 후 해야 할 일에 대해 조언을 해주었습니다.

  사실 처음이라 잘 모르는 부분이라 우왕좌왕했는데, 일단 알게 된 부분들에 대해 정리해봅니다.

  속시 틀리거나, 미리 알아두면 좋은 팁 같은 게 있으면 공유해주시면 좋겠습니다.

 

<순서>

  1. 사망신고
  2. 안심상속원스톱서비스 신청
  3. 법무소 고용

  다만 개인은 법 관련 처리가 어려울 테니 법무소를 고용하는 것이 좋을 것이라고 장례지도사에게 조언을 받았습니다.

사망신고

  • 사망진단서 필수.
  • 기본적으로 동거하는 친족이 해야 한다.
  • 신고기한: 사망사실을 안 날로부터 1개월 이내.

안심상속원스톱서비스

  • 사망신고 필수: 사망신고가 되어야만 신청이 가능.
  • 사망신고 시 ‘안심상속원스톱서비스’도 함게 신청이 가능.
  • 신청기한: 사망일이 속한 달의 말일로부터 1년 이내

조회해주는 재산

  1. 국세(체납, 고지세액)
  2. 금융거래(은행잔고, 대출, 보험, 주식 등)
  3. 국민연금(가입여부)
  4. 지방세(체납, 고지세액)
  5. 자동차(소유정보)
  6. 토지(소유내역) 등 총 19종.

법무소(법무사 사무소)

  장례지도사의 말을 들었을 때는 상속과 관련해서 전반적으로 업무를 맡아주는 것이라 추측했는데, 몇 군데 방문 및 문의해본 결과 내 생각과 좀 달랐습니다.

  • 일단 원스톱서비스 결과가 있어야 법무소도 무언가 해 줄 수가 있다고 한다.
  • 대부분의 법무소는 부동산 관련 일만 처리한다고 하였다.
  • 그 외의 일은 개인이 각 기관에 문의하여 처리 가능하다는 답만 들었다.

 

  또한, 상속 관련 다음 3개의 사무소를 나눠서 생각해야 한다고 설명 받았습니다.

  • 법무소(법무사 사무소): 부동산 관련 서류 및 처리를 한다.
  • 세무소(세무사무소): 상속세 세금 계산 및 처리.
  • 변호사: 상속 관련 분쟁이 발생했을 때.

 

*참고: 법률사무소를 보고 찾아가봤었는데, 전혀 관련 없는 곳이었다. ‘법무소’는 ‘법률사무소’의 줄임말’이 아니었다. 법률사무소는 분쟁이 있을 때 찾아가는 곳이라고 한다.

추가 정보 링크

조언 부탁드립니다

  내용이 틀리거나 미리 알아두면 좋은 팁 등이 있으면 조언 부탁드립니다.

 

반응형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운전면허증 갱신 끝났다~~~!  (1) 2022.10.11
7천억 해먹고, 8천억 더.. 서민 등치는 '빌라왕국'  (0) 2022.09.04
시스템1의 지배  (0) 2022.05.01
728x90


왜 몸에 좋은 자세는 불편하고, 몸에 안 좋은 자세는 편할까?

 

몸에 좋은 자세가 불편한 이유 요약  : 몸에 좋은 자세가 불편한 이유는 근육을 사용하기 때문이다. 근육이 몸을 지탱하므로 근육이 피로를 느끼고, 이 때문에 불편하다고 느낀다.

편한 자세가 몸에 안 좋은 이유 요약 : 편한 자세는 근육 대신 관절을 사용한다. 하지만 관절은 근육과 달리 재생이 거의 되지 않는 부위이다. 편한 자세를 취하는 동안 관절이 갈려나가는 것과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이것이 누적되면 꼬부랑 노인을 벗어날 수 없게 된다.

반응형

+ Recent posts